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가가의 블로그

[ 쌩초보 스스 창업 도전기 2 ] 사업자등록증 만들기 (1) 본문

스스

[ 쌩초보 스스 창업 도전기 2 ] 사업자등록증 만들기 (1)

가가1000 2020. 4. 20. 18:47

안녕하세요. 가가입니다. 

 

창업을 한 번도 해보지 않은 쌩초보로 첫 창업의 기록을 블로그에 해나가고 있습니다. 

 

제가 가장 먼저 도전할 것은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창업인데요. 

 

요즘에는 정말 여러가지로 창업할 수 있는 방법이 많은데요. 그 중에서도 제가 가장 접근하기 쉬웠기 때문에 첫번째로 하게 되었습니다. 

 

이전 포스팅 [ 쌩초보 스스 창업 도전기 1 ] 개인판매자 스마트스토어 만들기 글에서 처음에는 개인판매자로 스토어를 만들고 사업자전환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씀드렸었는데요.

 

개인판매자로도 계속 물건을 판매할 수 있지만 그렇게 하면 거래횟수나 매출에 제약적인 부분이 있어서 사업자전환을 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전환하는 방법 자체는 매우 쉬운데요.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판매자센터에서 바로 할 수 있습니다.

 

 


 

 

1. 스마트스토어 판매자센터 들어가서 판매자정보 클릭

 

 

 

 

2. 판매자정보 클릭 후 사업자 전환 클릭 

 

 

 

3. 사업자 전환 페이지에서 사업자 정보 입력 

 

 

 


 

위에 사진으로 설명드린 것처럼 방법자체는 아주 간단합니다. 

 

하지만 막상 들어가서 사업자전환을 하려고 보면 입력해야할 정보에 사업자구분, 사업자등록번호, 사업장 소재지 등등 입력하고 서류도 제출해야 합니다. 

 

이런 정보들과 서류들은 사업자등록증을 만들어야만 입력할 수 있는데요.

 

그래서 스마트스토어를 개인판매자에서 사업자로 전환하기 위해 필수조건인 사업자등록증을 제가 어떻게 발급했는지 써보려고 합니다.

 

 

 

 

스마트스토어 사업자전환을 위한

사업자등록증 발급받기


 

1. 홈택스에 접속해서 신청/제출 카테고리에서 사업자등록신청을 클릭

 

세무서에 방문해서 발급받는 방법도 있지만 인터넷 신청도 되기 때문에 바로 홈택스로 들어갔습니다. 

 

 

 

 

2. 기본정보사업장소재지를 입력

 

저는 처음이라 여기서도 고민이 되었는데요. 상호명을 쓰라고 하는데 여기에 제가 앞서 개인판매자로 만들었던 스마트스토어의 상호명을 똑같이 써야하는 건가?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여러 검색을 통해 찾아보니 꼭 그럴 필요 없이 달라도 괜찮다고 나와있어서 그냥 제가 하고싶은걸로 했습니다. 혹시나 저처럼 헷갈리시는 분들이 있을까봐 공유해봅니다ㅎ

 

그리고 사업장정보도 입력해야하는데요. 저는 인터넷 쇼핑몰을 운영하기 때문에 따로 상가를 임대하는게 아닌데요.

이럴 경우엔 사업장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몰라 또 고민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관할 세무서에 전화를 걸어 물어봤는데 전자상거래의 경우에 자택주소를 넣어도 된다고 하시더라구요. 그래서 주소지 동일여부에 '여'에 체크하고 기본주소에는 집주소를 입력해주었습니다.

 

그리고 사업자등록을 할 때 임대차계약서도 첨부해야하는 경우도 있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어서 그것도 함께 물어봤는데 집주소가 사업장이 될 경우는 자가에 해당되고 (여기서 말하는 자가는 실제로 집주인이 사업자 본인인지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부동산개념의 자가가 아님- 그냥 집주소를 사업장으로 쓸 경우 자가에 해당된다고 하셨어요) 자가에 해당되면 임대차계약서를 낼 필요가 없다고 하셨습니다.

 

 

3. 업종 선택 , 사업장 정보 , 사업자 유형 

 

 

사업장소재지를 입력하고 아래에 보면 업종을 선택하라고 나오는데요. 제가 사업자 등록증을 만들 때 가장 고민이 되었던 부분이 사업장소재지와 업종이었습니다. 업종선택에 대한 이야기는 포스팅이 너무 길어질 것 같아 사업자 유형선택과 함께 다음 글에 올리겠습니다. 

 

그 대신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사업장 정보입력에 대해서 짧게 말씀드리면 사업장 정보는 개업일자 이외에는 필수 입력 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저는 개업일자만 입력했는데 처음에 쓸 때 개업일자도 조금 고민이 됐습니다.

 

개인판매자 스마트스토어를 개설한 날로 해야될지 ? 사업자등록증을 신청하는 날로 해야될지? 실제로 상품을 올리기 시작하는 날로 해야될지? 

 

헷갈려서 찾아보았습니다. 검색해서 많은 선생님들(저에게는 구글,네이버에 많은 선생님들이 계십니다..)의 글을 종합해본 결과 개업날짜는 크게 상관이 없다고 하셔서 이 때쯤 상품을 등록하기 시작해야지라고 생각한 날짜를 입력해주었습니다.  

 

 


 

 

이렇게 오늘은 쌩초보인 제가 어떤 과정으로 사업자 등록증을 만들었는지 조금 알아보았는데요. 

 

다음 글에서는 오늘 미처 다 말씀드리지 못했던 업종 선택과 사업자 유형 그리고 발급이 된 이야기까지 해볼예정입니다.

 

여기까지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글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오늘 한번에 다 알려드리려고 했는데 사업자등록증 하나 만드는 것도 글로 풀어써보니 생각보다 많은 고민들이 들어가있었던 것 같습니다. 사소한 것도 신경쓰는 성격때문에 느릿느릿 하지만 그래도 조금씩은 나아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느려도 한걸음씩 가기만 한다면 좋을 것 같아요ㅎ 

 

오늘도 재택근무나 부업에 대한 고민을 하는 모든 초보 창업자 분들이 힘내셨으면 좋겠습니다. 

 

같이 화이팅! 해요 ㅎ

 

Comments